사례 어릴 때 받은 세뱃돈을 엄마에게 압수당한 경험이 다들 있으실 겁니다. 요즘은 엄마 주머니로 가기보다는 실제로 자녀 이름으로 통장을 만들어서 통장에 그대로 넣어주기도 하죠. 통장 만들기도 쉽지 않아요, 이건 대포 통장사례에서 실제로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 과거와 달리 통장 만드는 게 참 어려워졌습니다. 여러 증빙서류들이 필요해요. 다시 본론으로 돌아오죠. 엄마 A씨는 자녀가 명절, 100일, 돌잔치 마다 받은 금액을 그대로 자녀 명의 통장으로 넣어줬습니다. 이게 '용돈'이야? '증여'야? 용돈과 증여의 차이는 뭐지? 얼마까지가 괜찮을까? 그런데, 이런 자녀에게 주는 '용돈'이 '세금'으로 되어 부메랑이 된다면??? 물론 세뱃돈으로 증여세 폭탄을 맞으려면 빌게이츠 손자정도는 되어야겠지만, 그래도 알아..